일상의 정리

'전체 글'에 해당되는 글 62건

  1. Linux 상에서 svn 사용하기
  2. FreeNX 설치
  3. Visual Leak Dectector

Linux 상에서 svn 사용하기

리눅스/설치
대개의 프로젝트는 윈도에서 하므로 TortoiseSVN을 사용하지만...
일부 서버는 리눅스 상에서 개발하므로 리눅스에서도 사용해야 되는 경우가....

다음은 리눅스에서 svn 기본 명령 사용법 정리이다.

1. 저장소 만들기
일단 root로 로그인
# cd /home/svn
--> 저장소를 생성
# svnadmin create --fs-type fsfs <repository명>
--> svn group이 저장소에 Access 가능하도록 directory 속성변경
# chmod -R o-x <repository명>
# chmod -R o-r <repository명>
# chmod -R g+w <repository명>
# chgrp -R svn <repository명>

2. 자신의 계정에서 생성한 저장소 Access
--> 자신의 사용자로 로그인
--> ~/.bash_profile 에 다음 줄 추가하여 환경변수 생성
export SVN_EDITOR=vi
--> 원하는 폴더로 감
$ cd ~/gits
--> 요렇게 하면 현재 디렉토리 아래에 <directory명>에 해당되는 directory가 생성되고 그 아래 소스트리를 만들면 된다.
$ svn checkout svn+ssh://localhost/home/svn/<repository명> <directory명>
--> <directory명> 으로 가서 작업
--> 로컬 디렉토리 또는 파일 저장소에 추가하기
$ svn add <파일명>
--> 로컬 디렉토리 또는 파일 커밋하기
$ svn commit
--> 저장소의 최근 내용으로 로컬 파일 업데이트 하기
$ svn update

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페이지 참조

http://www.pyrasis.com/main/Subversion-HOWTO

FreeNX 설치

리눅스/설치

1. http://www.nomachine.com/ 에서 다운로드 받는다.

2. Client, Node, Server 순으로 설치를 한다.
  # sudo rpm -i nxclient-3.3.0-6.x86_64.rpm
  # sudo rpm -i nxnode-3.3.0-12.x86_64.rpm
  # sudo rpm -i nxserver-3.3.0-14.x86_64.rpm

3. 설치 후 /usr/NX/scripts/setup/nxserver --install 실행

4. 키 생성을 위해 /usr/NX/bin/nxserver --keygen 실행

5. /usr/NX/share/keys/default.id_dsa.key 내용을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설정 부분에 키 항목에 추가.

6. 만약 별도의 사용자 DB를 유지하고자 한다면 /usr/NX/etc/server.cfg 파일을 수정
EnableUserDB = "1"
EnablePasswordDB = "1"
"1"로 한 경우에는 6-1로..

기존 리눅스 사용자를 그대로 쓰려면 위의 "1"을 "0"으로 바꾼다.
EnableClipboard = "both"

6-1. 계정 추가 및 암호설정을 위해 nxserver --useradd username 실행

7. 데몬 재시작. /etc/init.d/nxserver restart

8. sshd 설정 확인
Load up your /etc/ssh/sshd_config file into an editor:

/etc/ssh/sshd_config 편집

다음 라인을 추가하거나 확인한다.
AuthorizedKeysFile /usr/NX/home/nx/.ssh/authorized_keys2

sshd 데몬을 재시작
sudo /etc/init.d/ssh restart

다음 명령을 쳐서 아래 화면 내용이 나오면 정상적인 상태이다
sudo /usr/NX/bin/nxserver --status

This should return:

NX> 900 Connecting to server ..
NX> 110 NX Server is running.
NX> 999 Bye.

9. 접속 후 한글이 안되는 경우가 있다. 이런 경우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.
사용자 홈 디렉토리에 .bash_history 파일에 다음 내용을 추가 한다.

export LC_CTYPE="ko_KR.UTF-8"
export XMODIFIERS=@im=SCIM
export GTK_IM_MODULE=scim
export QT_IM_MODULE=scim

Visual Leak Dectector

프로그래밍/C++
개발할 때 문제 되는 것 중의 하나가 Memory Leak이다.
상용툴인 BoundsChecker 를 사용하면 되지만...
값이 만만치 않다는 거...
공짜로 훌륭한 툴이 있더라.. 바로 Visual Leak Dectector
MS Visual Studio 를 사용한다면 바로 적용할 수 있다..
안타까운 건 현재 진행중인 프로젝트는 BC++ 6.0 이라는 거지만...

나중에 MS-VC++을 사용할 때를 대비해서 일단 로깅...
한가하면 BC++로 포팅할 수 있을 지 검토해 볼 예정...

http://www.codeproject.com/KB/applications/visualleakdetector.aspx